네티즌 선정 2016년 "새해소망한자"에 참여해 주신 모든 분께 감사드립니다.

 
 
容(용) : 용서할

사회가 점점 개인화의 경향이 강화되면서 이기적이며 타인을 배려하는 마음이 약화되고 있는 현상에 대해서 마음이 안타깝습니다. 용서(容恕)와 용납(容納)이 제자리를 찾지 못하면서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의 아름다운 미덕이 제자리를 잃어가고, 개개인의 목소리만 커가는 상황에서 容(용)의 참된 의미를 실현했으면 합니다. 용납하고 용서함으로써 이웃과의 화합을 실현하여 우리 모두가 웃는 얼굴(容)이 되는 2016년 병신년이 되기를 기원합니다.

 
讓(양) : 사양할

우리 사회의 모든 분야는 물론 인간관계의 악연은 이기심과 욕심에서 비롯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양보' '사양'의 뜻을 가진 한자를 선정하였습니다. 노사간, 여야간, 남북간, 남녀간 서로 대립 할 경우에 협상으로 타협을 이룰 근본은 양보라고 생각합니다. 한걸음씩 양보하면 순조로운 타협을 이루고 협력할 수 있을 것입니다.

 
敬(경) : 공경

교육을 받는 이유도 궁극적으로 볼 때 敬에 집약 된다. 일상생활에서 사회전반에 경이야 말로 근간이 되기 때문이다. 입에서 나오는 말 한마디도 敬이 깔리면 거슬리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자식부모간, 이웃친지간, 사회일반에 걸쳐서 敬을 근간으로 삼고 살아가야 될 세상이기 때문이다..

 
尊(존) : 높을
尊重(존중) 높을 존, 무거울 중, 높이어 귀중하게 대함은 인성교육진흥법에서 밝힌 인성교육 핵심가치 8개 덕목 중 하나입니다. 동양고전학을 학습하는 우리의 가치와 공감하며, 요즘 인성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이 시점에서 삶의 가치와 통하며, 인간은 누구나 존중을 받거나 존중을 하면서 너도 웃고 나도 웃는 우리 사회를 존경과 배려하는 존중의 문화가 되도록 우리들이 앞장서 꽃 피우려고 해야 합니다.
 
史(사) : 역사

역사는 바뀔 수 없는 것 입니다. 역사는 그 나라의 뿌리이며, 존재 가치 이기도 합니다. 특히 학교에서 학생들이 배우는 역사 교육은 매우 중요합니다. 조금도 왜곡해서도 안되며, 진리를 토대로 가르쳐야 할 것입니다. 역사교과서는 대한민국의 영혼이기 때문에 올바르게 제작되어야 할 이유이기도 합니다.

 
 
경제 效(효) : 본받을
通(통) : 통할
   
교육 性(성) : 성품
史(사) : 역사
訓(훈) : 가르칠
學(학) : 배울
   
사회문화 敬(경) : 공경할
易(역) : 바꿀
安(안) : 편안
   
국제 廣(광) : 넓을
   
전체 恩(은) : 은혜
新(신) : 새로울
省(성) : 살필
尊(존) : 높을
   
정치 和(화) : 화할
合(합) : 합할
   
기타 希(희) : 바랄